* 비동기 방식으로 작동하는 상황들
- 네트워크 요청하여 데이터 받아오기
- 파일 읽기/ 쓰기
- 데이터베이스 쓰기
* 비동기 코드 앞에 await 붙이고, 해당 코드가 속한 함수에 async를 넣어주면 비동기 방식의 코드를 동기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.
Future<String> getName() async {
String name = await HTTP요청;
return name;
}
(비동기 방식으로 네트워크에서 값을 긁어와서 UI로 화면에 띄워주고 싶을 때 주로 이렇게 한다)
(네트워크에서 값을 가져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화면에 띄워줘야 되니깐)
async 가 선언된 함수의 반환 값은 Future<반환 값> 형식으로 표현.
await를 해야만 String을 Future(미래)에 반환할거야.
출처) 스파르타코딩클럽 강의자료 4주차
'Flutter > Flutter 스파르타코딩클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hared_preferences (Swift UserDefaults와 비슷) (0) | 2023.09.29 |
---|---|
context.read<클래스명>() (0) | 2023.09.29 |
setState vs. ChangeNotifier, notifiyListeners (0) | 2023.09.29 |
상태관리 패키지 ex1) provider (0) | 2023.09.29 |
Flutter 패키지 이용 (0) | 2023.09.28 |